본문 바로가기

修身正心

[스크랩] 3. 韓字의 韻과 四聲 --------한자의 운과 사성

 

3. 韓字의 韻과 四聲

 

韓字는 낱낱의 글자가 字形(글꼴) 切韻(소리, 四聲別 韻) 字義(글뜻)가 있다. 切韻은 四聲으로 나뉘어 뜻이 결정된다.

 

   ○ 過 相 爲 들은 平聲韻일 때 ‘지나다 서로 하다’의 뜻이나 韻이 去聲일 때 ‘허물 돕는다 위하다’로 바뀐다.

 

   ○ 語 遠 好 들은 上聲韻일 때 ‘말 멀다 좋다’이나 韻이 去聲일 때 ‘알리다 멀리하다 좋아하다’로 바뀐다.

 

   ○ 莫 覆 北 數 易 들은 入聲韻일 때 ‘말다 뒤집다 북쪽 자주 바꾸다’인데 去聲(모 부 배 수 이)일 때 ‘저물다 덮다 도망 숫자 쉽다’이다.

 

  같은 四聲韻이라도 앞소리(聲→子音)가 다르면 또한 뜻이 다른 경우도 있다.

 

 위 도표에서 보듯이 역대 韻書(字典)들은 낱낱의 글자가 갖는 소리와 그 소리에 따른 뜻을 설명함으로써 책이름을 거의 韻書라 했다. 四國(고구려 신라 백제 가락)前記와 魏晉代(AD3-4世紀)이래 이 규정은 지금까지 변함이 없으나 오랫동안 中國 南部의 발음에 영향을 받은 現代中語는 이 원칙이 많이 바뀌었다. 韓語發音(原音)으로 배운 日語發音은 그들 토착어의 單純性 때문에 48韻의 뒷소리를 내지 못한다.


출처 : 3. 韓字의 韻과 四聲 --------한자의 운과 사성
글쓴이 : 靑藍 원글보기
메모 :

'修身正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호제  (0) 2006.10.01
[스크랩] 雜寶藏經  (0) 2006.10.01
[스크랩] 한자학 원론 서문  (0) 2006.09.30
[스크랩] 小 學 題 辭  (0) 2006.09.30
[스크랩] 격몽요결 서문  (0) 2006.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