修身正心

筍子 의 天論

옥호정 2006. 11. 10. 12:22

하늘은 사람이 추위를 싫어한다고 겨울을 거두지 않으며             (天不爲人之惡寒也輟冬)

땅은 사람이 먼것을 싫어한다고 넓이를 줄이지 않는다                (地不爲人之惡遠也輟廣)

 

하늘은 변함없는 道를 운행하고                                              (天有常道矣)

땅은 변함없는 도리를 행하고                                                 (地有常數矣)

 

군자는 변함 없이 그것을 체현할 뿐이다                                   (君子有常體矣)

 

하늘의 운행은 상도가 있을 뿐                                                (天行有常)

요임금을 존속케 하고 걸 임금을 멸망케 하지 않는다                  (不爲堯存 不爲傑亡)

 

상도에 따라 다스리면 흥하고 상도를 어지럽히면 흉하다            (應之以治卽吉 應之以亂卽凶)

산업을 힘쓰고 소비를 절검하면 하늘도 가난하게 할 수 없고       (疆本而節用 卽天不能貧)

순리로 양생하고 때에 알맞게 행동하면 하늘도 병들게 할수 없고 (養備而動時 卽天不能病)

도를 구비하여 어긋나지 않으면 하늘도 재앙을 내릴수 없다        (修道而不특 卽天不能禍)

                                                                          **특--  心+戈에서 창과에 좌 비침을 뺀글자

                                                                          **뜻 =   어긋날 , 틀릴 의 의미

그러므로 하늘과 사람의 분수를 밝히면                                   (故明於天人之分)

至人이라고 하는 것이다                                                       ( 卽可謂至人矣)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오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雩우 而雨何也)

아무런 까닭이 없다                                                             ( 曰 無何也)

기우제를 지내지 않아도 비가 오는 것과 같다                           ( 猶不雩而雨也)

일식 ,월식을 하면 회복되기를 빌고                                        ( 日月食而救之)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내고                                                (天旱而雩)

점친 연후에 큰일을 결정하는 것은                                         (卜筮然後決大事)

 

그것으로 해결된다고 생각해서가 아니라                                 (非以爲得求也)

그것을 문화로 꾸미는 것 뿐이다                                            (以文之也)

 

그러므로 군자는 그것들을 문화로 생각하고                             (故君子以爲文)

백성들은 귀신의 신통력이라 생각한다                                    (而百姓以爲神)

 

出典: 동양고전 산책에서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