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雜寶藏經 삶의 진리유리하다고 교만하지 말고불리하다고 비굴하지 말라 자기가 아는대로 진실만을 말하고주고 받는 말마다 악을 막아 듣는이에게 편안과 기쁨을 주어라 무었을 들었다고 쉽게 행동 하지 말고그것이 사실인지 깊이 생각하여 理致가 명확 할때 과감히 행동하라 지나치게 인색 하지 말고성내거나 미워 하지말라 利己心을 채우고자 正義를 등지지 말고원망을 원망으로 갚지 말라 위험에 직면하여 두려워 말고이익을 위해 남을 모함하지말라 客氣를 부려 만용하지 말고 허약하여 비겁하지 말며사나우면 남들이 꺼려하고 나약하면 남들이 없신 여기나니사나움과 나약함을 버려 지혜롭게 中道를 지켜라 태산같은 자부심을 갖고 누운 풀처럼 자기를 낮추어라역경을 참아 이겨내고 형편이 잘 풀릴때를 조심하라 재물을 오물처럼 볼줄도 알고터지는 분노를 잘 다스.. 더보기 [스크랩] 3. 韓字의 韻과 四聲 --------한자의 운과 사성 3. 韓字의 韻과 四聲 韓字는 낱낱의 글자가 字形(글꼴) 切韻(소리, 四聲別 韻) 字義(글뜻)가 있다. 切韻은 四聲으로 나뉘어 뜻이 결정된다. ○ 過 相 爲 들은 平聲韻일 때 ‘지나다 서로 하다’의 뜻이나 韻이 去聲일 때 ‘허물 돕는다 위하다’로 바뀐다. ○ 語 遠 好 들은 上聲韻일 때 ‘말 멀다 좋다’.. 더보기 [스크랩] 한자학 원론 서문 한자학 원론 서문 덕수궁 문이 ‘大漢門’(대한문)이다. ‘大漢’이란 ‘큰놈’이라는 말이다. 왜냐하면 ‘漢’ 자는 단독 또는 낱말 앞에 올 때 은하수나 漢水로, 뒤에 올 때 ‘놈’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무뢰한 악한 괴한 추한 색한 문외한 천한 촌한 취한 치한 등이 다 놈이다. 그 ‘큰놈문’(大漢.. 더보기 [스크랩] 小 學 題 辭 小 學 題 辭 元亨利貞 天道之常(陽) 元 亨 利 貞은, 天道의 떳떳함이요 仁義禮智 人性之綱(陽) 仁 義 禮 智는, 人性의 벼리이니라 凡此厥初 無有不善(霰) 이 性은 처음에, 不善함이 있지 않으니 藹然四端 隨感而見(霰) 盛하듯 四端이, 感化를 따라 나타난다 愛親敬兄 忠君悌長(陽) 愛親 兄 恭敬, 忠.. 더보기 [스크랩] 격몽요결 서문 擊 蒙 要 訣 [序文] 人生斯世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非學問 無以爲人 학문(學問)이 아니면 바른 사람이 될 수 없다 所謂學問者 이른바 학문이라는 것은 亦非異常別件物事也, 또한 이상하고 별다른 것이 아니다. 只是爲父當慈 아버지는 자식을 마땅히 사랑하고, 爲子當孝 자식은 마땅히 효도하며, .. 더보기 [스크랩] 맹자 한 구절 옮깁니다 愛人不親 ( 애인불친 ) 이어든 , 反其仁 ( 반기인 ) 하고 治人不治 (치인불치 ) 이어든 , 反其智 ( 반기지 )하고 禮人不答 ( 예인부답 ) 이어든 , 反其敬 ( 반기경 ) 이니라 行有不得者 ( 행유부득자 ) 이어든 , 皆反求諸己 ( 개반구제기) 니 其身正而天下歸之 ( 기신정이천하귀지 ) 니라 . 사람을 사랑했어되 .. 더보기 [스크랩] 그리운 지난 風遊 그리운 풍류따라 마음이 흘러 갑니다 . 뜨오르는 생각으로 명작 한구절 흥얼대며 소개합니다 赤壁賦 / 소동파 이글은 원문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 意譯과 가감 조절이 있음을 밝힘니다. 임술년 가을 손님을 맞아 적벽아래 배띄워 노닐새 소슬바람에 잔잔한 물결타고 술잔 들어 明月의 詩를 읊고 窈.. 더보기 [스크랩] 부부의 性을 표현한 詩 이글은 몇해 전에 조선일보 일간지에 게재된 글 입니다 살을 섞는 부부 관계에 대한 갈망이 매우 육감적이 면서도 아름다운 표현입니다. 중국 안록산의 난이 나자 杜甫는 가족을 피란 시키고 장안에 남아 있다가 반란군에게 붙잡힌뒤 지은 詩 라는 군요 "月夜 / 杜甫" 향긋한 밤안개 그대 머리가 젖고 .. 더보기 이전 1 ··· 43 44 45 46 다음